JAVA/변수 5

07. 연산자

목차 연산(Operation)이란?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 연산자: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 피연산자 : 연산자와 함께 연산되는 데이터 연산식 :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이용하여 연산의 과정을 기술한 것 연산자의 종류 연산자 종류 연산자 피연산자 수 산출값 기능 산술 +, -, *, /, % 이항 숫자 사칙연산 및 나머지 계산 부호 +, - 단항 숫자 음수와 양수의 부호 문자열 + 이항 문자열 두문자열을 연결 대입 =, +=, -=, *=, /=, %= 이항 다양 우변의 값을 좌변의 변수에 대입 증감 ++, -- 단항 숫자 1만큼 증가/감소 비교 ==, !=, >, ) 방향으로 연산 단항 연산자(++, --, ~, !), 부호 연산자(+, -), 대입 연산자 (=, +=, -=..

JAVA/변수 2021.08.18

06. 변수와 시스템 입출력

목차 System System.out은 시스템의 표준 출력 장치를 말한다. out은 표준 출력 장치, in은 표준입력장치 System.out.println("출력내용"); System.in.read(); 위와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출력하기(.out) 메소드 의미 println(내용);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행을 바꿔라(개행) print(내용);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만 해라 printf("형식 문자열", 값1, 값2....); 괄호 안 첫번째 문자열 형식대로 내용을 출력하라 개발자가 원하는 형식화된 문자열 출력가능 (ex. 전체 출력 자릿수제한, 소수 자릿수 제한) print(내용+\n); == println(내용) printf 사용방법 printf("형식 문자열", 값1, 값2....); 형식문..

JAVA/변수 2021.08.13

05. 변수의 타입 변환

목차 타입변환이란? 하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바꾸는 것을 타입 변환(Type Casting)이라함 자바에서는 boolean형을 제외한 나머지 기본 타입 간의 타입 변환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타입변환에는 크게 자료형(data type)변환과 객체형(Object Type)변환이 있는데 객체형 변환의 경우 상속관계를 알아야 사용이 가능하다. 지금은 먼저 자료형 타입 변환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타입변환의 종류 1) 자동 타입 변환(묵시적 타입 변환) 2) 강제 타입 변환(명시적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 말그대로 자동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 자동 타입변환은 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허용범위가 큰 타입으로 저장될 때 발생 큰 허용 범위 타입 = 작은 허용 범위 타입 작은 허용범위..

JAVA/변수 2021.08.12

04. 기본 타입

목차 - 자료형은 왜 필요한가 1) 메모리는 상대적으로 비싼데 1비트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려고 32bit int 형으로 선언하면 낭비이다. pc, 냉장고 정수기등 요새는 인공지능을 사용하는데 이런 가전 제품은 단가 싸움이라 최소한의 용량으로 단가를 맞춰서 최적화하여 기기에 넣어 사용한다. 메모리의 효율성을 생각해서 자료형을 잘 활용해야한다. 2) 문자열을 쓰던 상수를 사용하던 컴퓨터는 숫자로 인식하여 저장한다. char, int모두 숫자로 저장하지만 해석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자료형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자료형은 값을 해석하는 방식을 고른다고 접근해야함 (가끔 뜬금없이 예상한 값이 아닌 음수값이 찍힐때 출력될때에는 오버플로우를 의심해 야한다) 즉 메모리에 담긴 값을 해석하는 방법 => 자료형 ..

JAVA/변수 2021.08.10

03. 변수

목차 왜 변수를 사용하는가? 컴퓨터 메모리(Ram)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수많은 번지(주소)들로 구성되어있다. 그런데 메모리의 어디에 저장하고, 어떤 방식으로 저장할지 정해놓지 않으면 프로그램 개발이 무척 어렵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변수를 사용한다. 변수란? 값을 저장 할 수 있는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변수의 특징 1) 메모리에 어디에 저장하고, 어떤 방식으로 저장할지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운영체제가 정한다. 자바의 경우는 JVM이 하는일이다. 2) 자바의 변수는 다양한 타입의 값을 저장 할 수 없다. (정수타입변수에는 정수값만 저장가능함) 3) 하나의 변수에 동시에 두가지 값을 저장할 수 없다.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4) 변수가 어떤 값을 저장하고 있는지 쉽게 알..

JAVA/변수 2021.08.10